케이스 풀이 단계 개요
컨설팅 케이스 인터뷰를 준비해본 사람들은 아래 적혀있는 내용이 너무나도 당연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케이스 인터뷰의 흐름의 중요성을 한번 짚고 넘어가고 싶은 이유는, 케이스는 문제를 잘푸는 것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풀이과정을 잘정리하는 것 또한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각 단계별 필자가 면접에서 사용했던 팁과 인터뷰어들의 expectation에 대해서도 공유하고자 하니 참고하길 바란다.
전략 컨설팅 케이스 인터뷰의 단계는
1) Clarifying Question
2) Framework
3) Analysis / Drilling Down Framework Component
4) Synthesis
로 이루어져 있다.
단계를 명심하면서 케이스를 푸는 것이 매우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framework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경우, “원래 말씀 드린 프레임 워크 안에서 xx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 했으니 다음 컴포넌트인 yy로 넘어가서 가설을 검증하도록 하겠습니다”와 같이 가이드를 꼭 해줘야 인터뷰어가 명확하게 면접자의 로직을 따라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스 면접 흐름을 운영할 경우 면접관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접자도 머리에서 케이스 풀이가 보다 잘 정리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케이스 풀이의 Loop은 Clarifying Question → Framework → Analysis of Framework Component #1 → Synthesis → Analysis of Framework Component #2 → Synthesis → Analysis of Framework Component #3 → Synthesis → Final Synthesis로 형성되어 있다.
각 단계별 유의해야하는 사항과 팁은 별도 포스트로 올리겠으나, 각 단계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은 하기 참고 바란다.
#1. Clarifying question
본격적인 case 풀이에 앞서 내가 어떤 문제를 풀어야하는지, 풀고자하는 문제의 본질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꼭 기억하고 명심해야하는 점은 1) 내가 필요한 정보들을 전부 수집했는가? (내가 핵심적인 정보를 놓치지 않았는지 검토해야함) 2) 질문을 구조화하여 하였는가? (Communication)이다.
전체 Case 풀이에 할당되는 시간이 40분이라하면, Clarifying에서는 5~7분 정도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케이스를 풀기 위해 시간 확보 뿐만 아니라, 너무 많은 질문을 하거나, 쓸대없고 과한 질문을 하게될 경우 감점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샤프하면서도 최대한 많은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의 Clarifying Question에 대한 팁들은 해당 링크에서 확인 바란다. (https://consultingbible.tistory.com/4)
#2. Framework
Framework는 clarifying question 이후 케이스 문제를 어떻게 접근할지, 혹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답변을 해야하는 부분은 무엇인지를 outline하는 단계다. Clarifying Question 이후 2~5분간 시간을 달라한 후 종이에 framework와 framework component 별 봐야하는 sub-component 혹은 분석 방법론을 layout 한 후 면접관에게 설명을 하고, 면접관의 OK를 받으면 각 component에 대한 가설 검증 (#3. Analysis & Drilling down framework component)으로 넘어가게 된다.
필자가 framework 관련해서 알려주고 싶은 부분은 1) 면접관들이 기대하는 framework의 레벨이 무엇인지와 2) Framework를 설명하는 방식이다.
필자의 Framework에 대한 팁들은 해당 링크에서 확인 바란다. (https://consultingbible.tistory.com/6)
#3. Analysis & Drilling down framework component
Framework를 set-up 한뒤 각 영역에서의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론은 케이스를 풀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 부분은 글로 설명하기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어 (문제 유형과 케이스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 너무 다양하고, 연습의 영역이기 때문에) 분석 방법론이 무엇이 있는지 터치만 하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필요 시 추후 별도 포스트로 설명하겠다.
시장) 시장을 형성하는 lever 뽑기 (인구수 곱하기 뭐 곱하기 뭐..) >> 각 레버의 변화 방향성에 따른 시장 전망 파악
경쟁) 경쟁사와의 경합지점 파악 (세부 고객군, 상품의 세부 상품군이 겹치는지); KSF/KPC 분석; 채널 포트폴리오 분석; 벨류체인 분석 등 >> 분석을 통해 경쟁사 대비 대상회사 경쟁력 수준 파악; 만약 MS를 정량화해야하는 경우 경쟁사와 경합 지점 (시장의 몇 퍼센트 – 세부 고객비중/제품- 를 두고 경쟁하고 있는지)을 보고 이중에서 대상회사가 얼마나 가져올 수 있는지를 파악하자
시너지) 매출 (P, Q 올릴수 있는가), 비용 (FC 줄일 수 있는가, VC 줄일 수 있는가) >> 이를 통해 시너지가 날 수 있는지를 보자. 비용의 경우 FC/VC로 구분하여 항목 파악이 어려울 경우 손익계산서 항목을 하나하나 생각하며 모든 부분을 다 커버했는지 확인하자.
리스크) 규제적 리스크, 시장리스크, 디시너지 (cannibalization), 벨류체인별 리스크 요인을 brain storm하자. 만약 brain storm이 어려울 경우 decision tree를 그려보자
#4. Synthesis
이부분은 간단하다. 하나의 분석이 끝나거나, framework에서 하나의 component 검증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가설에 대한 답변을 정리해서 전달하도록 하자. 예를 들어 수익성 원인파악 문제에서 매출이 문제가 아닌 것으로 분석이 완료 되었을 경우, "매출이 수익성 하락의 원인일 것이라는 가설은 시장의 성장성과 대상회사의 점유율 추이 및 경쟁력 분석을 통해 파악했습니다. 이에 따라 수익성 하락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데, 비용쪽으로 넘어가서 구체적으로 어떤 비용이 어떤 이유 때문에 늘었는지 파악해보고자 하는데 괜찮을까요?" 등 가설과 검증 결과를 summarize하며 면접관에게 정리를 한후 loop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자.
목인터뷰나 케이스 인터뷰 강의 필요 시 하기 채널에서 1:1 채팅문의 부탁드립니다
l 카카오톡 채널 검색용 아이디: consultinggod
l 카카오톡 채널 링크: http://pf.kakao.com/_BzdAG
'케이스 인터뷰 (case 이론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 컨설팅 케이스 인터뷰 준비] 단계 #2 - Framework 잡는 방법 (0) | 2023.06.27 |
---|---|
[전략 컨설팅 케이스 인터뷰 준비] 케이스 단계 #1 - Clarifying Question하는 방법 (0) | 2023.06.27 |